본문 바로가기
코인스팟

크립토 세금 실전 가이드 🇰🇷💸 거래소별 과세 흐름 총정리

by 엘로윈 2025. 4. 4.
반응형



"내 코인도 세금 내야 하나요?"  
많이 듣는 질문이지만, 너무 막연하셨죠?

이번 편에서는 국내 거래소, 해외 거래소, DEX까지 거래 유형별로  
실제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고, 신고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투자자의 입장에서 꼭 필요한 정보만 정리해드립니다.

1. 과세의 기본 원칙: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

- 한국 정부는 2025년 1월부터 가상자산 과세 시행 예정  
- 기본공제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 20% 분리과세  
- 해외 거래소/DEX에서 발생한 이익도 모두 신고 대상

2. 거래소 유형별 과세 적용은 어떻게?

국내 거래소 (업비트, 빗썸 등)  
- 실명계좌로 연동된 은행 통해 입출금 → 과세 정보 자동 수집  
- 국세청이 연간 거래내역 요청 가능  
- 거래소에서 연말정산용 자료 제공 가능성 있음

해외 거래소 (바이낸스, 쿠코인 등)  
- 실명 인증 없고, 원화 출금 불가 → 정보 수집 어려움  
- 그러나 국외소득은 자진신고 의무 발생 (해외금융계좌 신고 대상 가능)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별도 계산 필요

탈중앙화 거래소 (DEX)  
- 지갑에서 지갑으로 거래 → 완전한 익명 거래  
- 하지만 블록체인 분석 가능 → 고액 이동 시 추적 우려  
- 소득 발생 시 원칙상 신고 의무 존재

3. 과세 대상과 과세 제외 항목

구분             | 과세 대상 | 비과세 또는 유예 대상  
------------------|-----------|------------------------  
코인 매매 차익   | O         | 2025년 이전 거래  
에어드랍 수령    | O         | 일정 기준 이하 유예 가능  
스테이킹 보상    | O         |    
코인 전송 수수료 | X         | 거래비용으로 인정 가능  
NFT 거래 수익    | X (현행)  | 추후 포함 가능성 있음  

4. 세금 계산 예시

A씨가 2025년 1월~12월 동안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으로  
400만 원 수익을 실현한 경우

→ 250만 원 기본공제 후, 150만 원에 대해 20% 과세  
→ 납부세액: 150만 원 × 20% = 30만 원

*단, 본인의 원화 입금금액, 전송내역 등 정리 필요*

5. 대비 방법: 투자자가 지금 해야 할 일

1. 모든 거래소 거래내역 백업해두기 (CSV 파일 등)  
2. 매매 시기, 수량, 원화 환산가 정리  
3. 코인별 보유기간, 수익률 기록  
4. 국내 세무사와 상의하거나 세금계산 툴 활용  
5. 해외 거래소 사용 시 외환법 관련 이중 점검

마무리하며

코인 투자 수익도 이제 '양도소득세' 대상입니다.  
단순히 “해외니까 괜찮겠지”라는 생각은 이제 금물!

남들보다 한 발 먼저 기록하고 대비하는 것이  
세금으로 인한 리스크를 줄이는 가장 현실적인 투자 전략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해외 거래소 이용 시 외환법과 신고 의무 정리"로 이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