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인스팟

코인 상장 과정과 거래소 선정 전략 완전정복 🚀

by 엘로윈 2025. 4. 4.
반응형



신규 코인, 어떻게 거래소에 상장될까?  
그리고 투자자는 어떤 거래소에 주목해야 할까?

1. 코인이 거래소에 상장되는 방식

코인이 거래소에 상장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개발만 잘해서는 안 됩니다.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

- 프로젝트 백서 및 팀 공개  
- 법적 검토 및 컴플라이언스 심사  
- 기술적 보안 점검  
- 유동성 공급자(LP) 확보  
- 마케팅 및 커뮤니티 활성화  
- 거래소와 상장 협의 (Listing Fee, 공동 마케팅 등)

2. 상장 심사 기준은 어떻게 다를까?

국내 거래소는 FIU(금융정보분석원) 등록 이후, 심사 기준이 매우 강화되었습니다.

- 업비트: 블록체인 평가, 팀 역량, 유동성 등 심사  
- 빗썸: 프로젝트 지속 가능성과 커뮤니티 활성도 중시  
- 코인원: 기술력 + 투자자 보호 중심  
- 고팍스: 외부 전문가와 함께 상장 위원회 운영

바이낸스 등 해외 거래소는 자체 기준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되며, 일부 DEX는 누구나 상장 가능하기도 합니다.

3. 투자자가 봐야 할 '거래소 선정 전략'

신규 코인 투자 시 다음을 고려하세요:

- 초기 DEX 상장 후 → CEX 상장 흐름을 노리는 전략  
- 김치 프리미엄/디스카운트 확인 (국내 거래소 상장 여부)  
- 유동성 중요: 24시간 거래량 낮은 코인은 상장 직후 급변동 가능성 높음  
- 공식 소식통 확인: 트위터, 미디엄, 거래소 공지 등

4. 유의사항: '상장빔'에 속지 말자

- 상장 직후 급등했다가 바로 폭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상장 루머만으로 매수는 위험합니다  
- 내부자 거래, 시세 조작 등이 과거에도 종종 발생했어요

마무리하며

코인 상장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프로젝트의 검증과 신뢰의 관문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어디에 상장됐는가'보다, '왜 그 거래소에 먼저 상장됐는가'를 보는 통찰이 필요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크립토 세금 실전 가이드'로 이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