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혼과 가족법률

양육권 분쟁, 엄마가 무조건 유리할까? 🤱🤔

by kenko 2025. 4. 6.
반응형



“양육권은 무조건 엄마한테 간다면서요?” 과연 진실일까?

이혼을 고민하는 부모들이 가장 걱정하는 건 양육권입니다.  
특히 아빠들은 "어차피 엄마가 가져가잖아"라며 체념하기도 하죠.

그런데!  
법원은 무조건 엄마 편이 아닙니다.  
핵심은 "누가 아이를 위해 더 좋은 부모인가?"입니다.

1. 법원이 보는 ‘양육권 판단 기준’

가정법원은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검토합니다.  
- 아이의 나이와 발달단계  
- 지금까지 누가 주 양육자였는지  
- 양육환경의 안정성 (주거, 경제력 등)  
- 양육 의지와 태도, 양육능력  
- 아이의 의사 (만 13세 이상은 특히 중요)

이 요소들을 모두 고려해 “아이의 복리에 가장 적합한 사람”에게 양육권을 줍니다.

2. 엄마가 더 유리한 경우 vs 아빠가 유리한 경우

엄마가 유리한 경우  
- 아이가 아직 영유아기 (특히 5세 이하)  
- 출산 후 꾸준히 직접 양육해왔을 경우  
- 안정적인 주거와 양육환경을 갖춘 경우

아빠가 유리한 경우  
- 엄마가 양육을 방임하거나 학대한 정황  
- 아이가 아빠와 더 애착이 깊고, 아빠가 주 양육자였던 경우  
- 엄마보다 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양육이 가능한 경우

즉, ‘성별’보다 실제 양육의 현실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3. 아이가 "나는 아빠랑 살고 싶어요"라고 하면?

13세 이상 아이라면, 의사의 진술이 법원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실제로 자녀의 의견서나 면접조사 결과에 따라 양육권이 바뀐 사례도 많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발언보다는 일관된 의사 표현 + 구체적인 사유가 있어야 설득력이 있습니다.

4. 경제력은 중요한가?

당연히 중요하긴 하지만, 경제력이 전부는 아닙니다.  
법원은 자녀 양육비를 서로 분담하는 구조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양육비를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소득이면 ‘양육권 불리’ 요소는 아닙니다.

5. '공동 양육'도 가능할까?

최근엔 공동 양육에 대한 인식도 커지고 있습니다.  
양쪽 부모가 협조 가능하고  
아이가 양쪽 집을 오가며 지낼 수 있는 구조라면  
"공동 양육" 판결도 충분히 나올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양육권은 더 이상 ‘엄마 몰빵’ 게임이 아닙니다.  
아이 중심으로 판단하는 시대,  
아빠든 엄마든 누가 더 준비됐는가가 핵심입니다.

양육권 분쟁 중이라면?  
감정이 아닌 전략과 준비가 답입니다!

#양육권 #이혼소송 #부모권리 #가정법원 #공동양육 #아이복리우선 #이혼변호사 #양육환경 #부모의조건 #양육권분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