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e believe that we can change the things around us in accordance with our desires—we believe it because otherwise we can see no favourable outcome. We do not think of the outcome which generally comes to pass and is also favourable: we do not succeed in changing things in accordance with our desires, but gradually our desires change.
우리는 우리의 욕망에 따라 주변의 것들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그렇게 믿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결과, 그리고 또한 좋은 결과에 대해 생각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욕망에 따라 사물을 바꾸는 데 성공하지 못하지만, 결국 점차 우리의 욕망이 바뀝니다.
#MarcelProust #InSearchOfLostTime #Literature #ClassicNovel #FrenchLiterature #Philosophy #Desire #Change #Adaptation #LifeLessons
___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주요 테마
기억의 지속성
프루스트의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진 테마는 기억의 지속성입니다. 소설은 우리의 기억이 우리와 함께 항상 존재한다는 개념을 다룹니다. 가장 유명한 '마들렌 에피소드'에서 화자가 마들렌을 한 입 베어 물자 어린 시절의 기억이 순간적으로 되살아나는 장면이 이를 극적으로 보여줍니다.
사회 변화
소설은 프랑스의 대전환기를 배경으로 합니다. 귀족 사회가 점차 신흥 부자들에게 자리를 내주는 복잡한 사회 풍경을 묘사하며,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을 통해 이 변화를 탐구합니다.
예술의 본질
프루스트는 예술에서 구원을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사회적 지위나 로맨틱한 사랑과 같은 보편적 인간의 열망이 허상임을 보여주며, 예술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시간의 본질
시간은 소설의 핵심 주제입니다. 프루스트는 시간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젊은 시절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의 변화, 그리고 '자아'의 일시성과 끊임없는 변화를 탐구합니다.
예술가의 탄생
소설은 개인이 삶의 의미를 찾는 여정과 예술가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립니다. 화자가 작가로 거듭나는 과정을 통해 예술의 초월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테마들을 통해 프루스트는 인간의 보편적 조건, 시간의 흐름, 그리고 예술의 힘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지적 탐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죽느냐 사느냐"로 유명한 그 작품, 다들 아시죠? (3) | 2025.03.09 |
---|---|
📒 여러분, 400년 전 영국 철학자가 말한 '아는 게 힘이다'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1) | 2025.03.09 |
📕 Miguel de Cervantes - Don Quixote (0) | 2025.03.08 |
📕 프리드리히 니체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0) | 2025.03.08 |
여러분, 이 책 읽어보셨나요? 기사도 정신으로 세상을 바꾸려다 망한 할아버지 이야기예요! (1) | 2025.03.08 |